실시간 뉴스



카카오-쏘카, 전기자전거 확대 '가속'


이달 들어 서비스 지역 확장···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서도 경쟁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카오와 쏘카가 자동차 승차공유에 이어 전기자전거를 비롯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개인형 이동수단으로 근거리 이동에 적합하다. 앱으로 간단한 인증 과정만 가치면 이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라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와 쏘카가 전기자전거를 비롯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모빌리티 업체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가까운 거리의 자전거 위치를 검색해 이용하고 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일반 자전거와 달리 전기가 동력이 된다.

카카오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 '카카오T 바이크'  [카카오모빌리티 ]
카카오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 '카카오T 바이크' [카카오모빌리티 ]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기자전거 서비스 'T바이크'는 지난 3월 경기도 성남, 인천 연수구를 시작으로 서울 송파구·위례, 전주시 이달들어 울산시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했다. 현재 1천800대를 운영 중이다.

카카오 전기자전거의 이용요금은 보험료 포함 최초 15분 1천130원, 이후 5분당 500원이 과금되는 방식이다.

카카오는 전기자전거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해 지난 7월말 이용자를 대상으로 T바이크 희망 지역을 설문조사 하기도 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설문 결과 희망지역 1위는 경기도 수원시로 나타났고, 경기도 용인시와 경기도 화성시, 서울시 강남구 등이 뒤를 이었다"며 "해당 지역에도 빠른 시간 내에 카카오 T 바이크가 도입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쏘카가 투자한 나인투원은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일레클' 운영 규모를 1천대로 최근 확장했다.

나인투원은 이달 말까지 서울시 내 6개 구, 6개 대학, 2개 중심업무지구로 일레클 지역을 확대하고 500여대를 추가 배치한다.

일레클 서비스 지역은 마포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중구, 종로구, 성북구 등 총 6개 구를 포함해 서울 소재 6개 대학, 그리고 서울중심업무지구(CBD)와 여의도업무지구(YBD) 등이다. 일레클은 최초 5분동안 500원, 이후 1분당 이용요금 100원을 받고 있다.

일레클의 전기 자전거 서비스  [나인투원 ]
일레클의 전기 자전거 서비스 [나인투원 ]

일레클은 세종시로도 진출했다. 나인투원은 일레클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10일부터 200대 규모로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시작했으며, 이를 2021년까지 세종시 신도시 내 생활권에 900대 규모로 확장시킬 예정이다.

일레클은 이용자 의견을 수렴해 바람이 빠질 위험이 적은 타이어를 적용하고, 내비게이션용 거치대가 있는 전기자전거 '일레클 네오'도 이달 도입할 예정이다.

쏘카 관계자는 "마이크로모빌리티는 중단거리 이동을 친환경 수단으로 해결함으로써 차량 소유를 줄이고 환경오염, 교통체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일레클과 같은 스타트업 및 서비스와 함께 도시 이동 혁신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사가 이같이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에 공들이는 건 자동차로 메우기 힘든 단거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발간한 '2019 리포트'를 통해 "카카오 T 바이크를 타고 이동하는 거리는 평균 2천443m로 나타났다"며 "지하철로는 한 정거장 남짓 거리, 걸어서 간다면 30~40분 정도 거리인데 바이크의 수요 대부분이 이런 상황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1인 모빌리티 시장)은 지난 2017년 7만5천대에서 오는 2022년 20만 대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 확대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회의적 시각도 있다. 카카오나 일레클은 별도 주차장이 없어 위성항법시스템(GPS)을 통해 정차된 자전거를 수거한다. 이 탓에 향후 운영 대수가 확산되면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에서 '오포'는 주차장 없는 전기자전거 공유 사업으로 한때 기업가치를 3조원대까지 높였지만, 무리한 서비스 확장과 경쟁사의 진출로 1조원대 부채를 떠앉게 됐다.

업계 관리자는 "기기를 수거해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수익성 문제에도 불구 운영 대수를 빨리 확장하지 못하는 업체들도 있다"며 "관리 시스템을 얼마나 잘 구축할 수 있는지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혜정 기자 hye55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카카오-쏘카, 전기자전거 확대 '가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